본문
2023(癸卯年)
2030 청년학교 토요반
시즌 2 : 지성에서 영성으로!
다시, 또, 새로운 해가 시작되었습니다. 2022년(임인년)은 그야말로 혼돈과 격랑의 시간이었습니다. 코로나가 지난 3년간 우리에게 던져준 메시지(욕망과의 거리두기/자연과의 공존 등)를 조금도 아랑곳하지 않는 듯한 사건의 연속이었습니다. 우리는 진정 코로나로부터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것일까요?
그럼에도 불구하고!
우리는 또 한 걸음을 내디뎌야 합니다. 운무 속에서도, 사막 한가운데서도 길을 찾는 것, 그 길을 향해 한 걸음 내딛는 것, 그것이 인생이니까요. 2030 청년학교 역시 그 한 걸음이 되기를 간절히 열망합니다. 이번 시즌의 모토는 "지성에서 영성으로!"입니다.
‘동서양 사상의 크로스’를 통해 지성을 연마하고, 그것을 바탕으로 20세기의 영적 스승들을 만납니다. 그들을 통해 21세기의 문명적 비전- 평화와 에콜로지, 연결과 공감 등-을 탐구해봅니다.
지성에서 영성으로 나아가는 이 원대하고 심오한 인식의 모험에 2030청년들의 자원방래를 고대합니다!
* 특히 이런 분들을 열렬히 환영합니다.
1. 코로나 이후 ‘삶의 지도’를 다시 그리고 싶으신 분
2. 노동과 화폐 따위에 청춘을 불태우고 싶지 않다! 라고 생각하시는 분
3. 세계평화, 자연과의 공존을 진정으로 열망하시는 분
4. 강감찬(감이당&남산강학원&사이재) 활동에 능동적으로! 접속하고 싶으신 분
5. 그냥 공부가 좋으신 분
■ 모집요강
개 강 2023년 3월 11일(토) 오후 3시 40분
장 소 깨봉빌딩 2층 감이당 (오프라인) *2030 청년학교는 오프라인으로만 진행됩니다!
기 간 2023년 3월 11일(토) - 2023년 7월 22일(토) (총 20주)
(*시즌 3은 2023년 8월 하순에 개강합니다)
시 간 매주 토요일 오후 3시 40분 – 저녁 8시
대 상 20대에서 30대까지의 청년들
정 원 18명 내외
회 비 100만원(M.T 비용은 별도) (입금계좌 : 카카오뱅크 3333-25-6392891/김미솔)
신청방법 회비 입금 후, 간단한 자기소개와 연락처를 꼭 남겨주세요.
(연락처는 필터링되어 관리자만 볼 수 있으니 안심하고 남겨주세요.)
담 임 문리스
강 사 고미숙, 이수영, 근영, 문리스, 오선민, 이경아
글쓰기 튜터 문리스, 김미솔
매니저/문의 김미솔 (010-7701-3775)
■ 전체 수업 일정
[한 학기 10주 일정]
1~7주차 : 수업진행
8주차 : 학기말 에세이 발표
9주차 : 방학
10주차 : M.T.(1학기: 깨봉청년들과의 미팅/2학기: 함백산장)
[수업 진행 계획]
1교시(오후 3시 40분-5시 30분) : 강토크
저녁식사(5시 30분-6시 10분) 깨봉 주방
2교시(오후 6시 10분-8시) : 글쓰기
■ 세부일정
■ 1학기
1교시(15:40-17:30) 강토크(강의&토크) : 동서양 사유의 크로스
* 진행방식 : 강사들의 강의(40분+40분)를 듣고 토론(30분)을 진행합니다(사회: 매니저). 7주차에는 각자가 뽑은 문장을 낭송하고 발표하는 시간이 있습니다.
주 | 날짜 | 주제 | 강사 |
1주차 | 3/11 | 장자 vs 니체(1) | 문리스, 이수영 |
2주차 | 3/18 | 장자 vs 니체(2) | |
3주차 | 3/25 | 루쉰 vs 카프카(1) | 문리스, 오선민 |
4주차 | 4/1 | 루쉰 vs 카프카(2) | |
5주차 | 4/8 | 붓다 vs 들뢰즈/가타리(1) | 고미숙, 근영 |
6주차 | 4/15 | 붓다 vs 들뢰즈/가타리(2) | |
7주차 | 4/22 | 낭송과 스토리텔링 - 내 인생의 한 구절 | 발표 |
참고교재
1. 이희경 풀어 엮음, 『낭송 장자』, 북드라망
2. 이수영, 『명랑 철학』, 동녘
* 위 책은 품절도서로 e-book으로 구하시거나 도서관 등에서 빌려 읽어주시길 바랍니다! 책이 구하기 어려우신 분은 매니저에게 따로 연락주세요
3. 고미숙 외 5인, 『루쉰, 길없는 대지』, 북드라망
4. 오선민, 『카프카, 자유를 위한 여섯 번의 시도』, 북드라망
5. 고미숙, 『청년 붓다』, 북드라망
6. 신근영, 『안티 오이디푸스, 나는 아이가 아니다』, 북튜브
2교시(18:10-20:00) 글쓰기 : 사유의 지도-그리기
* 진행방식 : 책을 읽고 모여 4주간 세미나를 진행, 이후 4주간 글을 쓰고 절차탁마하는 과정을 거쳐 함께 발표, 합평합니다. 글쓰기 전과정은 글쓰기 튜터(담임/매니저)와 함께 합니다.
주 | 날짜 | 수업방식 | 과정 | 튜터 |
1주차 | 3/11 | 세미나 | 『계몽의 시대』 | 글쓰기 튜터 |
2주차 | 3/18 | 세미나 | ||
3주차 | 3/25 | 세미나 | 『연애의 시대』 | |
4주차 | 4/1 | 세미나 | ||
5주차 | 4/8 | 글쓰기 | 개요 작성 | |
6주차 | 4/15 | 글쓰기 | 목차(기승전결) 쓰기 | |
7주차 | 4/22 | 글쓰기 | 초고발표 | |
8주차 | 4/29 | 글쓰기 | 학기말 에세이 합평 | 고미숙 |
세미나 교재
1. 고미숙, 『계몽의 시대』, 북드라망
2. 고미숙, 『연애의 시대』, 북드라망
* 9주차(5/6) : 방학
* 10주차(5/13) : M.T - 깨봉청년들과의 미팅
■ 2학기
1교시(15:40-17:30) 강토크(강의&토크) : 20세기의 영적 스승들
* 진행방식 : 강사들의 강의(80분)를 듣고 토론(30분)을 진행합니다(사회: 매니저). 7주차에는 각자가 뽑은 문장을 낭송하고 발표하는 시간이 있습니다.
주 | 날짜 | 주제 | 강사 |
1주차 | 5/20 | 간디(1) - 진실이 곧 신이다! | 고미숙 |
2주차 | 5/27 | 간디(2) - 죽음은 영광스런 해방이다 | |
3주차 | 6/3 | 아인슈타인(1) – 인생은 자전거 타기와 같다 | 근영 |
4주차 | 6/10 | 아인슈타인(2) - 사고실험과 새로운 시공간의 탄생 | |
5주차 | 6/17 | 토마스 머튼(1) - 젊은 날의 방황과 '칠층산' | 이경아 |
6주차 | 6/24 | 토마스 머튼(2) - 영성과 자유 : 종교의 경계를 넘어 | |
7주차 | 7/1 | 낭송과 스토리텔링 - 내 인생의 한 구절 | 발표 |
참고교재
1. 마하트마 간디, 『간디 자서전』, 함석헌 옮김, 한길사
2. 월터 아이작슨, 『아인슈타인의 삶과 우주』, 까치
3. 토머스 머튼, 『칠층산』, 바오로딸(성바오로딸)
4. 윌리엄 셰논, 『토마스 머튼의 생애와 작품』, 은성
2교시(18:30-20:00) 글쓰기 : 청년과 영성
* 진행방식 : 책을 읽고 모여 4주간 세미나를 진행, 이후 4주간 글을 쓰고 절차탁마하는 과정을 거쳐 함께 발표, 합평합니다. 글쓰기 전과정은 글쓰기 튜터(담임/매니저)와 함께 합니다.
주 | 날짜 | 수업방식 | 과정 | 튜터 |
1주차 | 5/20 | 세미나 | 『청년 붓다』 | 글쓰기 튜터 |
2주차 | 5/27 | 세미나 | ||
3주차 | 6/3 | 세미나 | 『리좀, 나의 삶 나의 글』 | |
4주차 | 6/10 | 세미나 | ||
5주차 | 6/17 | 글쓰기 | 개요 작성 | |
6주차 | 6/24 | 글쓰기 | 목차(기승전결) 쓰기 | |
7주차 | 7/1 | 글쓰기 | 초고발표 | |
8주차 | 7/8 | 글쓰기 | 학기말 에세이 합평 | 고미숙 |
세미나 교재
1. 고미숙, 『청년 붓다』, 북드라망
2. 김해완, 『리좀, 나의 삶 나의 글』, 북드라망
* 9주차(7/15) : 방학
* 10주차(7/22) : M.T - 함백산장
* 잠깐!! 신청 전에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신중하게 결정해주세요
남산 강학원은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곳이 아니며, 공동 생활과 공동 운영을 하는 공부 공동체입니다. 강좌나 세미나 등 프로그램은 매번 구성되는 회원들의 회비를 통해 강사비와 공간 운영비로 바로바로 집행되며, 그 밖에 청년 쿵푸 백수들의 자립과 공부를 위해 쓰입니다. 하여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회비는 전체 운영으로 사용되어 환불이 불가합니다. 좋은 공부와 인연을 만드는 출발점에서 마지막 신중한 결정을 부탁드립니다.
* 주차공간이 없습니다
되도록이면 대중교통을 이용하시고 거주자 우선주차공간에 절대 주차하지 말아 주세요 ^^
남산강학원을 방문하시는 학인 분들은 마스크 착용을 꼭 해주시고,
공간 내 곳곳에 비치된 손소독제와 의류 소독제 등도 적극 사용해주시길 바랍니다.
- 남산강학원은 생활방역(손씻기, 기본 거리 유지, 마스크 착용 등)을 적극 실천합니다. -